IDEAS home Printed from https://ideas.repec.org/p/ris/kieppa/2013_002.html
   My bibliography  Save this paper

글로벌 유동성 확대가 세계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정책 대응 (Effects of Global Liquidity on the World Economy)

Author

Listed:
  • Rhee , Dong-Eun

    (Korea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 Policy)

  • Park , Young-Joon

    (Ajou University, Department of Economics)

  • Yang , Da Young

    (Korea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 Policy)

  • Kang , Eun Jung

    (Korea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 Policy)

Abstract

Korean Abstract: 2000년대 초반부터 시작된 선진국의 저금리정책에 따라 글로벌 유동성(Global Liquidity) 확대가 국제금융시장과 세계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우려가 본격화되었다. 특히 글로벌 금융위기(global financial crisis)와 유럽 재정위기 이후 주요 선진국들이 일제히 초저금리정책과 양적완화(quantitative easing)정책으로 역사상 가장 확장적인 통화확장정책을 시행함에 따라 글로벌 과잉 유동성(excess global liquidity)에 대한 우려가 증폭되고 있으며, 선진국의 통화확장이 세계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선진국의 통화확장은 선진국의 통화가치 하락과 개발도상국의 통화가치 상승을 야기하여 이른바 근린궁핍화(begger-thy-neighbor)정책이 될 수 있으며, 풍부해진 글로벌 유동성이 개발도상국을 중심으로 유입될 경우 개발도상국의 물가불안, 자산시장의 과열과 부실화가 이루어질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글로벌 과잉 유동성이 국제상품시장에 투기적 거래를 늘려서 유가 등의 주요 국제상품시장 가격 수준과 변동성에 영향을 미칠 것에 대한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본 보고서에서는 글로벌 유동성 확대가 유가, 곡물 가격, 구리 가격, 금 가격 등 국제상품의 가격 수준과 변동성에 미치는 영향, 신흥개발도상국의 거시경제변수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우리나라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하고 있다. 본 보고서는 글로벌 유동성을 미국, 유로 지역, 영국, 일본 등 선진국들의 통화량 합(또는 GDP 대비 통화량의 합)으로 정의하여 사용하고 있는데, 이 지표는 특히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선진국 양적완화정책의 효과를 완전히 반영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으나 기존 문헌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지표이다. 먼저 글로벌 유동성 확대가 국제상품시장 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보기 위해 원유ㆍ곡물ㆍ비철금속ㆍ금 시장의 가격결정요인에 대한 GARCH 모형 추정을 하였다. 추정 결과 글로벌 유동성 확대는 곡물 가격과 구리 가격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유가와 금 가격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글로벌 유동성의 1% 확대는 유가를 0.64~0.76% 상승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우려와는 달리 유가 변동을 유의하게 증가시키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글로벌 유동성 1% 확대는 금 가격을 0.01% 상승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금 가격의 변동성도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다음으로 글로벌 유동성 확대가 자금수여국(liquidity receivers)의 거시경제 변수와 금융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보기 위해 패널 VAR(Panel VAR) 모형 추정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에는 미국, 유로 지역, 영국, 일본을 제외한 세계 34개국의 1995년 1/4분기부터 2013년 1/4분기까지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추정 결과 글로벌 유동성의 확대는 자금수여국의 실질 GDP를 2년 이상 지속적으로 상승시키는 효과가 있었으며, 2~4분기 정도까지 물가상승률을 높이는 효과도 관찰되었다. 또한 1~2분기 동안 포트폴리오 투자 유입을 증가시키는 효과와 5분기 동안 주가를 상승시키는 효과가 관찰되었으며, 이에 따라 환율을 지속적으로 절상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자금수여국을 선진국과 신흥국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선진국의 경우 글로벌 유동성 확대에 대해 실질 GDP 성장률이 유의하지 않거나 단기간 소폭 상승하는 반응을 나타낸 반면, 신흥국의 경우 실질 GDP 성장률이 19분기까지 유의한 양의 반응을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최대 상승폭도 2.6~2.8%로 컸다. 물가상승폭도 선진국에 비해 신흥국이 컸다. 신흥국의 분석에서는 글로벌 유동성 확대에 따라 포트폴리오 자금 유입이 줄어드는 모습이 관찰되기도 하였는데, 이는 글로벌 유동성 확장기에 중남미에서는 외환위기와 초인플레이션 등으로 인해 외국인투자가 크게 증가하지 않은 이유로 분석된다. 글로벌 유동성의 경기부양효과도 중남미 국가에서보다 아시아 신흥국에서 더 크고 지속적으로 관찰되었다. 마지막으로 우리나라에 미치는 영향을 블록 외생적 VAR(Block exogenous VAR)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특히 명목변수인 글로벌 유동성의 영향은 경기변동 주기보다 짧은 주기대영역(frequency domain)에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소파동(wavelet) 분석을 통해 단주기(short periodicity)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에는 2001년 1월부터 2012년 11월까지의 월별 자료가 이용되었다. 추정 결과 원자료 분석(raw data analysis)에서는 글로벌 유동성 확대가 소비자물가지수를 상승시키는 반응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관찰되었으나, 단주기 분석에서는 소비자물가뿐만 아니라 주택가격 상승, 외국인 주식 순매수 상승, 원달러 환율 평가절상 등의 효과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관찰되었다. 본 보고서의 분석을 통해 그동안의 글로벌 유동성 확대가 세계경기 부양과 금융시장 활성화에 기여하였다는 것을 볼 수 있었지만, 향후 글로벌 유동성 축소 국면이 시작될 경우 세계경제에 부정적인 충격을 줄 수 있는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본 보고서에서 사용되고 있는 글로벌 유동성 지표상으로는 앞으로 1~2년 동안 글로벌 유동성의 확대가 지속될 가능성이 있지만, 이후 선진국들의 통화정책 정상화 과정에서 자산 및 원자재 가격 하락으로 인한 신흥국들의 경기부진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며, 신흥국으로 유입되었던 외국인투자가 빠르게 유출된다면 경제의 펀더멘털이 취약한 신흥국에서는 금융불안이 야기될 가능성도 있다. English Abstract: With the advanced economies’ low interest rate policies that began in early 2000, the concerns regarding the impacts of the expanding global liquidity on the international financial markets and the world economy have become more vivid. Following the global financial crisis and the European fiscal crisis, advanced countries began implementing ultra-low interest rates and quantitative easing policies. The most intensive expansionary monetary policies in the history raise the concerns of excess global liquidity. This research defines the global liquidity as the sum of the advanced economies’ (U.S., Eurozone, U.K., and Japan) money supply and empiricall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global liquidity expansion on the world economy. First, to assess the impacts of the global liquidity expansion on the international commodity prices, we employ GARCH model. The results implied that the global liquidity expansion ha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the grain and cooper prices, but it did on the oil and gold prices. Increase in the global liquidity by 1% would lead to a 0.64-0.76% increase in oil prices; however, on the contrary to our concerns, the liquidity expansions had very little effects on the price volatility. For gold, an increase in the global liquidity by 1% would induce a price increase of 0.01%, but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the price volatility. Next, to examine the effects of global liquidity expansions on the liquidity-receiving countries macroeconomic variables and financial variables, the Panel VAR model is adopted in our analysis. A data set of 34 countries (excluding U.S., Eurozone, U.K., and Japan) from the 1st quarter of 1995 to 1st quarter of 2013 was used in the analysis. Our estimation results propose that the global liquidity expansion increases the liquidity-receivers' real GDP persistently for more than 2 years, and also increases the inflation rates until the 2nd-4th quarter. Increased inflows of portfolio investment were also observed during 1st-2nd quarter and stock prices increased for 5 quarters, hence leading to a constant appreciation of the currency values. The liquidity receiving countries were divided into advanced and developing countries; for advanced, the global liquidity expansions had no significant improvements on the real GDP growth, but only a marginal increase in the short-term. Wereas the emerging countries’ real GDP growth saw significant increases up until the 19th quarter and the margins were far greater (2.6-2.8%). In emerging countries' analysis, we observed that the inflow of portfolio capital decreases as the global liquidity expands; the reasons for this being that foreign investment did not increase significant in Latin America despite the global liquidity expansions, due to the foreign exchange crisis in the early 2000s, hyperinflation and et cetera in the area. The effects of the global liquidity in terms of economic stimulation were also observed to be larger and more continuous in emerging countries in Asia rather than in Latin America. Lastly, we used the 'Block exogenous VAR' to analyze the effects on South Korea. Especially considering that global liquidity can affect Korean economy in frequency domain that is shorter than the business cycle fluctuation, we used the wavelet analysis to analyze the effects in short periodicity. Monthly data from January 2001 to November 2012 have been used for this analysis. From the raw data analysis, increased CPI resulting from the expansion of global liquidity was observed and the resul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rom the short periodicity analysis,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such as the won-dollar exchange rate appreciation, and the rise in house prices and inflows of foreign portfolio investment and et cetera were also observed. Though the analysis work from this report, it can be seen that the expansion in global liquidity has contributed to the stimulation of world economy; however when the global liquidity begin to decrease, there exist possibility that the shrinks of the global liquidity may bring negative shocks to the world economy. It is possible that the global liquidity expansion will be continued for the next couple of years, but after the advanced countries' normalization of monetary policy, economic slowdown can occur in emerging countries due to the fall of asset prices and the rapid outflow of foreign capital can bring financial instability in emerging countries with weak economic fundamentals.

Suggested Citation

  • Rhee , Dong-Eun & Park , Young-Joon & Yang , Da Young & Kang , Eun Jung, 2013. "글로벌 유동성 확대가 세계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정책 대응 (Effects of Global Liquidity on the World Economy)," Policy Analyses 13-2, Korea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 Policy.
  • Handle: RePEc:ris:kieppa:2013_002
    DOI: 10.2139/ssrn.2434341
    Note: Downloadable document is in Korean.
    as

    Download full text from publisher

    File URL: http://dx.doi.org/10.2139/ssrn.2434341
    File Function: Full text
    Download Restriction: no

    File URL: https://libkey.io/10.2139/ssrn.2434341?utm_source=ideas
    LibKey link: if access is restricted and if your library uses this service, LibKey will redirect you to where you can use your library subscription to access this item
    ---><---

    Corrections

    All material on this site has been provided by the respective publishers and authors. You can help correct errors and omissions. When requesting a correction, please mention this item's handle: RePEc:ris:kieppa:2013_002. See general information about how to correct material in RePEc.

    If you have authored this item and are not yet registered with RePEc, we encourage you to do it here. This allows to link your profile to this item. It also allows you to accept potential citations to this item that we are uncertain about.

    We have no bibliographic references for this item. You can help adding them by using this form .

    If you know of missing items citing this one, you can help us creating those links by adding the relevant references in the same way as above, for each refering item. If you are a registered author of this item, you may also want to check the "citations" tab in your RePEc Author Service profile, as there may be some citations waiting for confirmation.

    For technical questions regarding this item, or to correct its authors, title, abstract, bibliographic or download information, contact: Juwon Seo (email available below). General contact details of provider: https://edirc.repec.org/data/kieppkr.html .

    Please note that corrections may take a couple of weeks to filter through the various RePEc services.

    IDEAS is a RePEc service. RePEc uses bibliographic data supplied by the respective publish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