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DEAS home Printed from https://ideas.repec.org/p/ris/kieppa/2012_016.html
   My bibliography  Save this paper

중국 도시화의 시장 창출 효과와 리스크 분석 (China's Urbanization; Consumption, Construction and Risks)

Author

Listed:
  • Choi , Pil Soo

    (Korea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 Policy)

  • Lee , Sang Hun

    (Independent)

  • Moon , Ik Joon

    (Korea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 Policy)

  • Na , Su Yeob

    (Korea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 Policy)

Abstract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설립 직후 중공업 중심의 공업화정책 추진에 따라 농촌의 노동력이 도시로 이동하면서 도시화가 이루어졌다. 이후 대약진운동과 문화대혁명을 거치면서 역방향 도시화가 발생함에 따라 중국의 도시화는 1970년대 말까지 정체되었다. 개혁개방 이후에는 향진기업의 발전을 통한 농촌 공업화, 토지개혁 등의 요인에 힘입어 중국의 도시화가 본격적으로 진전되었다. 2000년대 들어 개혁개방의 심화와 함께 도시화가 더욱 가속화되었으며, 도시지역 고정자산투자의 팽창이 급속한 도시 지역 개발 확대와 도시인구 급증을 주도하였다. 개혁개방 직후 중국의 도시화는 소도시(小城鎭)를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나, 2000년대에 들어 도시화가 국가전략의 하나로 인식되면서 경제발전과 지속가능한 경제성장을 위한 전략으로 도시화를 강조하였다. 11차 5개년 계획부터 도시화 정책의 초점을 ‘도시군’ 전략에 두기 시작하였으며, 이는 12차 5개년 계획에서 ‘양횡삼종(兩橫三縱)’, ‘주체기능구 전략’을 통해 보다 구체화되었다. 향후 중국의 도시화율은 지속적으로 상승하나 증가 속도는 점차 둔화될 것이다. 각종 기관의 전망치를 종합적으로 판단해 볼 때, 중국의 도시화율은 2020년에는 60%대, 2030년에는 70% 가까이 다다를 것으로 전망된다. 3장에서는 중국의 지역별 자료를 이용해서 중국의 도시화와 경제성장 간의 관계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거대도시로의 집적이 소득수준이 낮은 국가에서는 경제성장에 도움이 되지만, 어느 수준의 소득을 초과한 국가에서는 장기적인 경제성장에 방해가 된다는 월리암스 가설(The Williamson Hypothesis)을 검증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횡단면분석, 동태모형, 공간계량경제모형의 세 가지 모델을 사용하였다. 계량분석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은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 첫째, 세 가지 모형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특징으로, 지역 내 가장 큰 도시는 경제성장에 음(-)의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되었다. 중국정부는 향후 하나의 거대 도시보다는 대도시를 여러 개 건설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둘째, 도시화는 경제성장에 양( )의 영향을 미친 것으로 뚜렷이 나타났다. 횡단면분석과 공간계량경제모형의 경우에는 전체 도시화율이, 동태모형의 경우에는 75만 명 이상의 도시화율이 경제성장에 양( )의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경제성장률 간의 이전효과(spillover)를 고려하지 않는다면 중심도시와 위성도시 시나리오가 최선이고, 이전효과를 고려하면 전체적인 도시화율을 제고하는 것이 경제성장을 높이는 방법이다. 4장에서는 도시화에 따른 중국의 소비시장에 대해 살펴보았다. 2011년 소비시장의 규모는 2000년에 비해 4.7배 확대되었으나 소비율은 지속적으로 하락해왔다. 같은 기간 중국의 소비시장에서 도시지역이 차지하는 비중이 크게 증가해 도시지역이 중국 소비시장의 발전을 주도했음이 드러났다. 한편 소득계층별 소비수준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 소득분위 상위 40%가 핵심소비계층으로서 역할을 담당해왔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소비구조를 비교한 결과 도시에서 소득이 증가함에 따라 기초소비의 비중은 감소한 반면 서비스소비의 비중이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서비스소비에 대한 비중은 비슷한 소득수준을 보였던 한국의 1990년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020년 도시지역 소비항목별 시장의 비중과 규모를 추산한 결과, 기초소비와 관련된 소비시장의 규모가 더 컸지만 향후 새롭게 창출되는 시장의 규모는 서비스소비와 관련된 시장이 더 빠르게 확대될 것으로 예측되었다. 아울러 중국 평균과 상하이의 내구소비재 보급률을 바탕으로 추산한 결과 가전에서는 에어컨과 컬러TV, IT 제품에서는 컴퓨터와 핸드폰 그리고 승용차의 잠재시장이 향후 빠르게 확대될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도시지역 소비시장 확대를 제약하는 요인으로 노동소득 분배율 감소, 소득격차 심화, 사회보장제도 미비, 높은 주택가격과 교육비 등이 있다. 5장에서는 도시화 관련 건설 시장에 대해 살펴보았다. 중국에서 벌어지는 도시건설 투자는 매년 빠르게 증가해 왔으며, 2011년 총액이 19조 위안을 넘어 GDP의 41%에 달했다. 업종별로는 부동산이 43%, 교통운수가 21%, 수리ㆍ환경ㆍ공공인프라 부문이 16%, 전기ㆍ가스ㆍ물 부문이 10.7%를 각각 차지했다. 이 중 홍콩ㆍ대만을 포함한 외국자본의 비중은 평균 4.7%이며, 부동산에서는 9%를 차지했다.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in 1949, urban migration caused by the heavy-industrialization policy initiated China’s early urbanization. The Great Leap Forward and the Cultural Revolution which generated reverse migration, however, delayed the earnest onset of urbanization until the end of 1970s. Since the Reform and Opening, rural industrialization by TVEs and land reform expedited urbanization. In the 2000s, urbanization accelerated with deepening reform. Expansion of fixed assets investments led to development of urban areas and the increase in urban population. Immediately following the start of the Reform and Opening, urbanization in China occurred among small cities and townships. From the 2000s, urbanization began to be perceived as one of the national strategies for economic development. The 11th five year plan had focused a city-cluster strategy which materialized in the 12th plan as ‘Two Crosses and Three Ordinates’ and the ‘Self Functioning Region.’ It is expected that China’s urbanization rate will increase steadily albeit at a lower rate. Various calculations made in different researches reveal that China’s urbanization rate would reach 60% in 2020 and 70% in 2030. In Chapter 3, w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urbanization and economic growth in China using regional data. Specifically, the Williamson Hypothesis states that conglomeration into large cities could accelerate economic growth in the low income states, but actually slow it above a certain level of income, is verified. Cross section, dynamic and spatial econometrics models are adopted as methodologies.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s in policy implications as follows. First, the largest city in the region negatively impacts economic growth. For economic development, Chinese government would be better off creating several big cities rather than focus on one mega city. Second, urbanization itself obviously propels economic growth. In the cross-section and spatial econometric models, urbanization as a whole contributes to growth. In the dynamic model, however, only urban areas with a population of more than 750,000 do so. In sum, if we do not consider the spatial spillover effects among cities, hub and spoke urbanization would be the most favorable scenario; if we do consider it, increasing urbanization as a whole could be applied for growth. In Chapter 4, we examined the Chinese consumer market from the perspective of urbanization. The total size of the consumer market in 2011 had increased by 4.7 times since 2000. The consumption rate, however, had decreased steadily. During the same period, the urban share in the total consumption increased much, indicating that urban areas have led the growth in consumption as a whole in China. Observing changes in consumption according to income levels, we found that the upper 40% has contributed the most. We also found that as income increases, the share of basic consumption declines while service consumption grows. The share of service consumption is higher than that of Korea in 1990 when the income level was similar to China today. Estimating urban consumption items in 2020, we found that basic consumption would be larger while new growth would mainly come from service. Based on comparison of consumer durables between China’s average and Shanghai, we found that fastest growth would occur in potential markets in air-conditioner and color TV among other home appliances; and in computers, mobile phones and passenger cars. On the other hand, it is pointed out that the main obstacles in developing the urban consumption market are declines in labor’s income share, deepening income gap, insufficient social security, and high housing and education costs.

Suggested Citation

  • Choi , Pil Soo & Lee , Sang Hun & Moon , Ik Joon & Na , Su Yeob, 2012. "중국 도시화의 시장 창출 효과와 리스크 분석 (China's Urbanization; Consumption, Construction and Risks)," Policy Analyses 12-16, Korea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 Policy.
  • Handle: RePEc:ris:kieppa:2012_016
    DOI: 10.2139/ssrn.2326266
    Note: Downloadable document is in Korean.
    as

    Download full text from publisher

    File URL: http://dx.doi.org/10.2139/ssrn.2326266
    File Function: Full text
    Download Restriction: no

    File URL: https://libkey.io/10.2139/ssrn.2326266?utm_source=ideas
    LibKey link: if access is restricted and if your library uses this service, LibKey will redirect you to where you can use your library subscription to access this item
    ---><---

    Corrections

    All material on this site has been provided by the respective publishers and authors. You can help correct errors and omissions. When requesting a correction, please mention this item's handle: RePEc:ris:kieppa:2012_016. See general information about how to correct material in RePEc.

    If you have authored this item and are not yet registered with RePEc, we encourage you to do it here. This allows to link your profile to this item. It also allows you to accept potential citations to this item that we are uncertain about.

    We have no bibliographic references for this item. You can help adding them by using this form .

    If you know of missing items citing this one, you can help us creating those links by adding the relevant references in the same way as above, for each refering item. If you are a registered author of this item, you may also want to check the "citations" tab in your RePEc Author Service profile, as there may be some citations waiting for confirmation.

    For technical questions regarding this item, or to correct its authors, title, abstract, bibliographic or download information, contact: Juwon Seo (email available below). General contact details of provider: https://edirc.repec.org/data/kieppkr.html .

    Please note that corrections may take a couple of weeks to filter through the various RePEc services.

    IDEAS is a RePEc service. RePEc uses bibliographic data supplied by the respective publishers.